외국의 족보현황
• 족보는 한국이나 동양의 일부 국가에만 있는 것으로 아는 사람이 많은데, 사실
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 족보제도가 있다. 많은 나라에 族譜學會(족보학회)가
있으며, 족보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도서관이 있는 나라도 있다.
미국의 족보전문 도서관에는 족보자료가 마이크로필름화되어 있으며 族譜學會(족보학회)가 창립된 지도 80년이 넘어, 많은 학자들이 국제화를 통하여 족보에 대한 여러 가지 세미나를 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특히 하버드 대학에서는 한국의 족보제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의 족보들을 모두 필름으로 촬영하여 보관하고 있다.
• 미국 유타주의 각 대학에서는 계보의 작성법을 학과에 편성해 놓고, 교과로
배우고 있으며 연구발표회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이외에도 일본의 동경대학과 경도대학, 중국의 남경도서관과 중국과학원, 북경도서관, 프랑스의 극동학원, 베트남의 국립도서관 등에 동양의 족보가 보존되어 있다.
외국에서 쓰는 족보의 명칭을 살펴보면, 중국에서는 宗譜(종보)라 하며, 상류계층에만 족보가 보급되어 있는 일본에선 家譜(가보)라는 이름을 많이 쓰고, 서구에서는 Tree of Family(가족의 나무) 또는 Family Genealogy(가계)라는 말로 표현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족보가 없는 민족 가운데는 잃어버린 조상을 찾으려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유럽의 민족주의 국가에서는 지난날의 雜婚(잡혼)에 의한 민족의 質(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혈통을 존중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출처: http://user.chol.com/~yuing05/jaryo5.htm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밀리트리]숨겨진 한국사 족보서 찾다 (0) | 2011.06.30 |
---|---|
또하나의세계기록유산 ‘족보’ (0) | 2011.06.30 |
조선시대 양반 (0) | 2011.06.30 |
이기백교수 기고 "족보는 신분과시 포장용 유산" (0) | 2011.06.30 |
‘족보’ 속 딸들의 얼굴은 어디로 갔을까? (0) | 2011.06.30 |